nsclc (non-small cell lung cancer)비소세포폐암 용어

NSCLC (non-small cell lung cancer) 비소세포폐암 용어
소세포폐암(small cell lung cancer)
선암(adenocarcinoma)
편평상피세포암(squamous cell carcinoma)
대세포암(large cell carcinoma)
a) 편평상피세포암: 폐 중심부에서 발생, 객담 세포진검사로 조기 진단이 용이, 흡연과 관련이 깊음.
b) 선암: 폐의 가장자리에서 주로 발견되며 증상이 거의 없음. 젊은 연령층에서 발생하는 폐암의 가장 흔한 형태로, 비흡연자에게서 잘 나타나고 남성보다 여성이 많이 발생함.
c) 대세포암: 가장 드문 종류의 폐암으로 임상적 성상이 선암과 비슷함.
TNM 분류법: T(tumor, 종양): 원발 종양의 크기와 침윤 정도
N(node, 림프절):주위 림프절로 퍼진 정도
M(metastasis, 전이): 다른 장기로의 전이(원격전이) 여부
표적치료제(Targeted therapy)
암조직에서의 PD-L1 발현에 따라 면역항암제 를 사용하며 비소세포폐암에서는 PD-L1 발현율에 따라 키트루다, 옵디보, 티쎈트릭 임핀지 등을 사용
현재 면역항암제 치료요법의 사용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2027년 에는 면역항암제 병용 요법(IO)이 40%로 1차 치료제 중 가장 많이 쓰이며 ‘병용 요법 중심’으로 치료요법이 전환될 것으로 예상
출처: 한국바이오 경제연구센터
EGFR 돌연변이
EGFR(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, 표피성장인자 수용체) 변이
EGFR (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) is a protein on cells that helps them grow. A mutation in the gene for EGFR can make it grow too much, which can cause cancer.
리간드: 수용체에 결합하는 분자
세포는 주로 세포연관 수용체 단백질이 신호제공 분자와 결합함으로써 환경변화를 해석함
리간드와 수용체 간의 결합은 수용체 자체의 구조, 중합상태, 수용체 주위 환경의 변화를 유도함
이러한 변화는 리간드-결합 신호를 세포 내로 전달(변환)하여 세포 기능의 변화를 일으킴
사이토카인(cytokine) : 역세포들 사이에서 소통하는 데 관여하는 작은 분자
케모카인(chemokine) : 사이토카인 중에 화학 인력이나 반발력을 일으키는 분자